여러분들은 우리나라의 미래가 어떨 것이라는 생각을 하시나요? 이에 대해서 다들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계실 것 같은데요, 이에 대해서 통계청에서 밝힌 새로운 연구 자료가 있다고 합니다.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 자료를 살펴보면 한국인들의 생산연령인구는 2030년에는 3381만명일 것으로 예측이 되며, 2070년에는 1737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측이 된다고 하는데요, 2020년의 생산연령인구가 3738만명인 것에 비하면 2070년은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이 되는 것이죠.
많은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19∼34세에 해당하는 청년 인구는 2020년에는 1096만명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2070년에는 499만명이 될 것이라고 하는데요, 고령인구의 경우는 증가할 것 이라고 합니다. 2020년에는 815만명인 것이 2070년에는 1747만명까지로 늘어선다는 것이죠.
외에도 유소년인구의 경우도 점점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하는데요,
2070년에는 유소년인구보다 고령인구가 무려 6.2배나 많아지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예측은 어떤 자료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이는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이동에 대해서 중간 수준으로 가정한 뒤에 나오는 수치라고 합니다. 통계청 측에서는 2020년 이후부터 연령 계층별 인구의 변동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될지 걱정이 가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