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요즘 로드샵 화장품을 자주 가시나요? 이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안 간 다는 것을 답변 하실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이는 실제로 그러한데요, 

실제 지난 23일 데일리안이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올라온 2022년 기준 화장품 가맹점 정보공개서를 분석했다고 하는데요, 이에 따르면 가맹점 수 기준 상위 10개 브랜드의 총 매장 수는 1643개였다고 합니다. 5년 전인 2017년에 그 수가 4282개였던 것을 생각하면 절반 이상인 61.6%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실제로 매장의 수가 5년 동안 10분의 1로 줄어든 매장이 있기도 하며, 대부분의 매장은 절반 정도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된 배경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소비 시장 흐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화장품 소비도 온라인 비중이 커진 것이 배경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가/중저가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채널 양극화 현상이 심해진 것도 원인이 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코로나 이전에 비해서 화장품 업계가 많은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업계들이 어떤 식으로 이러한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되고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저도 사실 딱히 엄청난 아이디어는 떠오르지 않는데요, 여러분들은 어떤 점들을 개선했을 때 화장품 업계들이 다시 호황기를 맞게 될지 의견이 있으신가요? 있으시다면 여러분들의 의견도 한 번 들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밀키트 자주 구매하시나요? 사실 코로나가 심각해지고나서부터 밀키트에 대한 인기가 매우 높아졌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밀키트를 구매해서 요리를 하는 등의 활동을 했었는데요, 그에 따라서 각종 업계에서도 밀키트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관련 활동들을 진행해왔었죠. 하지만 지금은 그러한 상황에서 조금은 벗어난 것 같습니다. 밀키트 시장이 많이 주춤해진 것인데요, 조리 과정이 필요 없는 가정간편식(HMR)이 다양해지면서 냉동 간편식을 찾는 소비자는 증가한 반면 밀키트 제품은 전년 대비 검색량 하락폭이 가장 큰 업종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실제 업계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온라인상에서 간편식 상품 판매량이 늘었다고 합니다. 마켓컬리에서 밝힌 자료를 살펴보면 해당 업계의 제품 중 1~4월 양념치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00%, 치킨윙은 35%, 치킨류는 12% 증가했다고 합니다. 또한 편의점 GS25의 경우도 2023년 1분기의 냉동 간편식 매출은 2022년과 비교했을 때 무려 80.4% 증가했다고 합니다. 배달비가 늘어나고, 외식비가 늘어나게 되면서 사람들이 간편식을 많이 구매해서 조리해서 즐기는 상황으로 변해가게 된 것인데요, 특히 밀키트는 직접 요리를 그래도 어느정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HMR은 즉석식품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데우거나 끓이기만 하면 돼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들에 대해서 그 시장성 등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우리나라의 유산품들이 매우 가치있다고 생각하며, 해외시장 등에 대해서도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하지만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관광객들에게 조금 부족한 것 같다는 생각도 해본 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이제 앞으로는 그런 부분들이 많이 완화될 것 같기도 합니다. 각종 업계에서 우리나라의 문화유산들을 활용한 굿즈들을 개발하거나 판매하고자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가장 최근에 들려온 소식은 바로 롯데백화점과의 협업입니다.

롯데백화점 측에서는 서울 명동에 본점을 두고 있는데요, 이 곳의 ‘코스모너지 광장’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의 인기 굿즈를 소개하는 ‘나에게 온 보물, 뮷:즈’ 팝업을 열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는 5월 23일부터 6월 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전통 문화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힙 트래디션’의 인기가 반영되어 이러한 팝업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이 팝업에서의 공간은, 청자 백자 공예 서화 반가사유상 으로 총 5개의 테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굿즈는 200여종이 판매가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젊은 연령층들 또한 요즘에는 우리나라의 문화나 문화유산 등에 대해서 굉장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흐름에 맞춰서 좋은 협업을 진행하는 기업들의 각종 이벤트들이 많이 기대가 되고 이번에도 굉장히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들은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시나요?

 

 

 




Posted by 주주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