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요즘 가스 및 전기 요금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부담을 느끼시나요? 아무래도 대부분의 분들이 이에 대해서 부담을 가지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전기와 가스 요금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게 되면서 자취생들도, 가구들도, 또 자영업자들도 매우 큰 부담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심지어 이러한 상황속에서 2분기 전기와 가스 요금 인상안이 이르면 다음주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안그래도 모든 제품들의 가격이 오른 상황 속에서 가스비와 전기세까지 오를 예정이라고 하니,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현재의 상황도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여러분들도 아실겁니다.

전기 요금이 전에는 150만원이 나왔다면, 지금은 200만원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상인들을 이야기하는데요, 이로 인해서 사람들은 벌써 더운 여름에 에어컨을 켜는 것에 대해서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합니다. 또 음식점들의 경우는 오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그러면 또 그로 인한 전기세가 매우 부담이 되는 것입니다.

실제 한국외식산업연구원에서 전국 외식업체 20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고 하는데요, 이 결과 2023년 1월과 2월 업체당 평균 전기와 가스 요금은 2022년의 1,2월에 비해서 무려 20% 넘게 올랐다고 합니다. 

물론 정부 측에서는 서민, 자영업자 등의 부담을 고려해 전기·가스 요금 인상 폭을 최소화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한전과 가스공사의 재무 사정 탓에 어려울 것 같기도 합니다. 정말 부담이 되네요 ..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요즘 호텔을 자주 가시나요? 호텔을 가는 분들은 대부분 비즈니스 관련 혹은 여행으로 호텔을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여행을 가게 될 때에는 호텔의 컨디션을 많이 따지거나, 혹은 가성비를 따지거나 그런 분들이 매우 많은데요, 호텔 업계에서는 호텔의 컨디션이나 색다른 이벤트들이 많은 경우를 선호하는 고객들을 사로잡기 위해서 아주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그 색다른 이벤트들이 매우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호텔업계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라이즈 호텔은 4월 매주 일요일 호텔 5층 칵테일바 '사이드 노트 클럽'에서 믹솔로지 원데이클래스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는 젊은 세대들을 타겟으로 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직접 고객들이 주류를 만들어가면서 먹을 수 있는 다양한 클래스가 있다고 합니다. 전문 바텐더와 함꼐 진행을 하기 때문에 더욱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인데요

외에도 대명소노그룹 소노인터내셔널에서는 자연 속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고 합니다. 

제주 신라호텔의 경우는 5월까지 평일 오후 3시부터 두 시간동안 레저 전문가와 함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시행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호텔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통해서 소비자들을 끌어모으고, 소비자들에게 자신의 호텔에 대한 이미지를 좋게 하면서 다음에 또 방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짜고 있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가장 인상깊었던 이벤트에 무엇이 있으셨나요?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샤넬 등 명품 제품을 자주 구매하시나요? 혹은 작년에 명품 제품을 구매하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사실 최근에 제 주변에서 명품 가망을 구매하고자 하는 젊은 연령층들이 많은 것 같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에 반해서 전에 비해서 더 소비를 자제하고자 하는 분들도 있고, 이렇게 양극화가 매우 심해져가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샤넬은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둔 것 같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밝힌 자료를 살펴보면, 샤넬코리아에서는 2022년, 국내에서 1조6000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거두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2021년도(1조2238억원)과 비교했을 때 무려 30.03% 정도가 증가한 규모라고 합니다. 또한, 동일한 기간 동안의 영업이익은 4129억원이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지난 해 기간에서의 이익이 2489억원이었던 것 과 비교하면 무려 65.89% 늘어난 금액이라고 합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는 73.64% 급증한 3115억원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배당금도, 기부금도 함께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한국에서 1조원 이상 연매출을 달성한 명품 브랜드는 많지 않습니다. 바로 샤넬, 루이비통 이렇게 2가지의 명품 브랜드만이 이를 달성했다고 하는데요, 루이비통은 2022년도에 1조692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현재 세계 경기가 매우 악화되면서 많은 분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품 회사의 실적은 매우 좋은 것이 조금 아이러니 하기도 합니다.

 

 

 




Posted by 주주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