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여러분들 중에서 여러분들은 혹시 술을 자주 드시나요? 그렇다면 어떤 술을 좋아하시나요? 이에 대해서 다들 의견이 다를 텐데요, 한가지 새로운 점들이 있습니다. 위스키 열풍을 타고 양주의 매출이 소주를 넘어서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MZ세대들을 중심으로 해서 위스키가 인기를 끌면서 양주가 소주보다 더욱 많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게 된 것인데요, 실제로 이마트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2023년 1~2월 위스키·브랜디·럼 등 양주 매출이 소주보다 3.6% 더 높았다고 합니다. 2021년도의 자료만 살펴보더라도 양주 매출의 비중은 소주 매출의 81.3%었는데 2022년에 95.8%, 그리고 올해는 103.6%이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에 반해서 수입 맥주 비중의 경우는 2021년 77.1%, 2022년 66.7%, 그리고 2023년인 올해에는 58.9%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영향을 받아서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2030 세대의 영향이 컸다고 합니다. 이마트의 위스키 구매 고객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1위가 30대 이하 (39.4%), 2위가 40대(24.3%), 3위가 50대(17.4%) 였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위스키에 탄산수 등을 섞어 마시는 형식의 술인 하이볼이 인기를 끌게 되면서 관련 상품들의 매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서 또 마트업계에서는 다양한 상품을 내놓을 것 같습니다. 기대가 되네요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대체공휴일 등 공휴일에 소비를 많이 하는 편이신가요?

이에 대해서 아무래도 공휴일에는 밖에 나가서 놀거나 음식을 시켜먹거나 그러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평소처럼 일만 하는 날과는 달리 그래도 소비가 많을 것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 현대경제연구원에서 ‘대체공휴일 지정 효과, 정책 노력에 달렸다’라는 보고서를 밝혔는데요, 여기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을 적용해서 한가지 결과를 밝혀냈다고 합니다. 그리고 대체공휴일 적용 인구와 대체공휴일 1일 1인당 소비지출액을 곱해 경제 전체 소비지출액 2조 4,000억원(2조,4,100억 원 상당)을 도출했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대체공휴일 확대 지정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내수 진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 노력의 중요성을 말했다고 합니다. 

현재 석가탄신일, 성탄절에 대해서 대체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말들이 많아지고 있고, 그와 관련한 개정안들이 입법 예고 되어있는 상태라고 하는데요, 이와 관련해서는 4월 5일까지 의견 수렴을 한 뒤, 대통령 재가를 최종으로 하여 공식 발표될 예정이라고 하죠. 이와 관련해서 대체 공휴일을 지정했을 경우 시장 활성화에 대해서 긍정적인 연구들을 보자니, 대체 공휴일이 정말 필요하겠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시장 경제 활성화가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다른 대책안도 필요할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떤가요?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일주일 최대 근로 시간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시나요? 이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의견이 다를 것이지만, 대부분의 분들이 근로 시간은 최대한 적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실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조사 결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밝힌 자료가 있는데요,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취업자가 희망하는 주당 근로시간은 36.70시간이었다고 합니다. 상용근로자들의 경우는 37.63시간 근무를 희망했다고 하는데요, 임시·일용 근로자들이 사정에 따라 짧은 근무 시간을 선호하는 경우가 포함되어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희망하는 근무 시간대가 짧았다고 하는데요, 20대 이하가 34.92시간이었으며 30대는 36.32시간, 40대는  37.11시간, 50대는 37.91시간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미혼자들이 기혼자들에 비해서 희망 근로 시간이 짧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제 경우를 살펴보면, 취업자들이 실제로 근무하는 시간은 41시간이었다고 합니다. 희망하는 근무 시간보다 더욱 길게 일하는 것이죠. 또한 휴게 시간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40.1%가 부족하다고 의견을 표했다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그래도 워라밸 문제가 많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그래도 전에 비해서는 워라밸이 존중되고 있는 듯한 느낌이지만, 그래도 아직 한국은 멀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을 하시나요?

 

 




Posted by 주주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