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해외 브랜드 햄버거를 자주 드시나요? 그렇다면 그 중에서 어떠한 햄버거가 가장 마음에 드시나요? 이와 관련해서 이번에 눈여겨볼만한 하나의 사례가 있는데요,

바로 파이브가이즈입니다. 최근에 해당 매장은 한국에 처음으로 지점을 냈는데요, 그 인기가 워낙 높은 탓에 정말 많은 사람들이 대기를 하면서 파이브가이즈의 제품을 맛보고자 하는 모습들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서 파이브가이즈가 오는 10월 여의도 더현대 백화점 지하 1층 식품관에 2호점을 개설할 계획일 정도라고 하는데요,

 

외에도 미국 3대 버거 브랜드 중 가장 먼저 한국에 진출한 쉐이크쉑 버거도 있습니다. 해당 매장도 현재 국내에 25번째 매장을 오픈할 정도라고 하는데요, 

이렇게 해외 브랜드들이 국내에 지점을 늘리고 있는 이유로는 국내 프리미엄 햄버거 시장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국내 햄버거 시장 규모는 2013년 1조 9천억원에서 2022년 4조원으로 성장했다고 하며 2023년도에는 5조원까지도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햄버거들의 경우 고든램지 햄버거도 있으나, 해당 제품은 너무나 고가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도전하려 하지 않지만 파이브가이즈 정도의 햄버거에는 많은 분들이 투자를 아까워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서 햄버거 업계들도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이에 대해서 얼마나 관심이 많으신지 궁금하네요.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혹시 아르바이트를 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그러한 분들 중에서 투잡을 뛰고 계시는 분들이 있으신가요? 과거에는 투잡이라는 말이 되게 흔하지는 않았어는데요, 최근 들어서는 투잡이라는 말이 정말 흔치않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욱 많은 일을 한다는 뜻으로 N잡이라는 말도 어렵지 않게 나오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한 하나의 통계 자료가 있다고 합니다. 

구인·구직 포털 알바천국에서 최근에 조사를 했다고 하는데요, 알바생 1371명, 사장님 115명 대상으로 ‘2024년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는데, 결과로 알바생 중에서 52.6%과 사장 74.8%가 ‘불만족하다’는 응답을 했다고 합니다.

 

알바생들의 경우는 최저시급이 만원을 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가장 큰 불만을 표했으며, 사장 분들의 경우는 최저시급이 그래도 조금이라도 인상이 된 부분에 대해서 부담을 느끼고 불만을 표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저임금이 최근에 상승하기로 결정나게 되면서 사장들은 알바생을 고용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인원을 줄일 계획이 있음을 밝혔다고 하는데요, 혹은 쪼개기 알바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아르바이트생을 단시간 동안만 고용하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듯 합니다. 정말 쉽지 않은 상황들인데요,

이렇게 쪼개기 알바가 늘어나면서 많은 알바생들이 또 N잡을 하게 되기도 하죠. 여러분들은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시는지 의견들이 궁금합니다.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언제까지 일을 하고 싶으신가요? 이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최대한 일은 자유롭게 내가 할 수 있는 정도만 하고 싶고, 정말 생계를 위한 일 같은 경우는 최대한 빠르게 그만두고 싶어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정말 날이 갈수록 어려운 상황이 될 것 같습니다.

실제 통계청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2023년 5월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국내 고령층인 55세부터 79세까지의 인구는 현재 총 1548만1000명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2022년도 5월달과 비교하였을 때, 인구 수가 38만4000명 늘어난 수치라고 하는데요, 그리고 올해 3월달을 기준으로 하면은 고령층의 인구는 15세 이상 인구(4537만9000명)의 34.1%이었다고 합니다. 전인구 중에서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기는 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서 고령층 취업자의 수도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수는 912만명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2022년도 동일 기간에 비해서도  34만9000명 증가한 수치라고 하는데요, 이는 역대 최대치라고 합니다. 

이렇게 현재 고령층의 일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에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과 더불어서 고물가 시대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더욱 큰 부담을 느끼는 것도 원인이 된 것 으로 보고 있기도 하는데요

앞으로도 이러한 상황들이 완화되지는 않고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하니 괜히 씁쓸하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을 하시나요?

 




Posted by 주주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