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이번 여름, 국내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가요? 이와 관련해서 많은 분들이 휴가 철에 어디로 여행을 가야할지 고민도 하고, 이미 예매 등을 모두 완료한 경우가 많으실거라 생각을 합니다.

이렇게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각 휴양지에 여행을 가려고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숙박비, 식비 등의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통계청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2023년 6월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강원도 내의 콘도 이용료는 전년대비 13.4%, 호텔숙박료는 11.1% 상승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외식물가는 6.8%, 놀이시설이용료는 5.7%의 상승률을 보였다고 하는데요, 6월달의 강원도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4%였다고 하니, 매우 높게 그 물가가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4인 가족 기준 1박2일 휴가비용은 100만원에 육박 할 정도라고 하는데요, 

이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그냥 국내 여행을 하느니 해외 여행을 가겠다고 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서 각 기관들은 과도한 비용 책정을 하게 되면 해외 여행으로 관광객 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해당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 있음을 우려하며, 이에 대한 다른 대책안을 강구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모든 물가가 끝없이 오르고 있는 상황 속에서, 휴가도 제대로 즐기지 못한다면 그는 너무 슬플 것 같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은 현재 여행 물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을 하시나요?

 




Posted by 주주네
,

여러분들은 전통 제조기업에 대해서 혹시 관심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해당 기업들에 대해서 현재의 상황은 알고 계시는 부분이 있으신가요? 정말 전세계적으로 일자리 문제도 있지만,

기업들의 고령화 현상에 대해서도 문제가 많은 편이라고 합니다. 실제 중후장대 업종의 전통 제조기업이 늙어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는 흔히 ‘굴뚝산업’이라고 불리는 중후장대(무겁고, 두껍고, 길고, 큰 제품을 다룬다는 말로 철강, 화학, 자동차, 조선 등의 제조업 지칭) 기업을 이르기도 하는데요, 해당 기업들의 경우는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닐 수 있으나, 

경직된 조직문화, 지방 근무 등으로 인해서 젊은 연령층들이 입사를 하더라도 버티지 못하고 떠나는 상태라고 하죠. 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3년 새 대부분의 중후장대 기업에서 20대 임직원 수가 줄어 들거나, 늘어나도 매우 소폭 늘어난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에 반해 50대 이상 임직원 수는 대다수 기업에서 늘어난 상황이라고 하고요.

조선업, 철강 등의 업종에서 특히 도드라지게 이러한 현상들이 보이고 있는데요,

네이버. 카카오 등의 IT기업과는 다르죠. 해당 기업들은 20대 직원 비율(지난해 말 기준)은 각각 25.38%, 29.24, 50대 이상 임직원 비율은 각각 2.03%, 1.3%이었다고 합니다.

 

젊은 세대들이 없는 기업들은 지속적인 부분에 대해서 많은 숙제를 안게 되는데요,

이러한 부분들이 어떻게 해결이 될지 우려스러우면서도 빠르게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Posted by 주주네
,

최근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졌던 이슈 중에 하나가 바로 주류 구매와 관련한 이슈였습니다. 음식점이나 마트 등에서 주류를 구매할 때, 그 가격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 많은 분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표하곤 했었는데요, 하지만 앞으로는 그에 대한 걱정이 조금은 줄어들 수 있을듯합니다. 정부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국세청은 최근 한국주류산업협회와 한국주류수입협회 등 주류 단체에 "소매업자는 소비자에게 술을 구입 가격 이하로 팔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안내문을 보냈다고 합니다. 소매처의 주류 할인 판매를 허용하는 것인데요, 국세청 측에서는 주류 할인을 유도하면서 물가 상승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는 정부의 방침에 따른 것이라 밝혔다고 합니다. 

최근에 정말 술 값을 보면 쉽지 않다는 생각이 절로 드는 상황이었습니다. 술 한 병에 오천원이 넘어가게 되면서 많은 분들이 술집에서 술을 먹는 것에 대한 큰 부담을 느끼곤 했는데요, 정부에서 이에 대해서 완화 요청을 함에 따라 앞으로는 한 병에 오천원 정도의 가격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게 되는 일은 줄어들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류 보다도 더욱 중요한 가장 가까운 생필품 등에 대한 물가가 낮아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한다는 의견들도 적지 않게 나오고 있는데요, 이러한 부분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방안들이 나와서 사람들이 모두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걱정 없이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합니다. 여러분들은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시나요?

 

 




Posted by 주주네
,